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건강

귀지 빼는 법 안전하게

by ※정책풀이전문 2021. 3. 23.
반응형

인간의 신체는 오묘합니다. 수많은 기관들이 있고, 또 여러가지 분비물들이 생기거나 배출됩니다. 그 중 하나가 귀지입니다. 귀지 제거를 하는게 좋다 안 하는게 좋다 의견이 갈리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귀지가 많이 생기는 스타일이라.. 일정 기간 귀지 제거를 하지 않으면 막 흘러내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는 주기적으로 귀지 제거를 해주는 편입니다.

 

오늘은, 귀지는 왜 생기는지와 안전하게 귀지 빼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귀지 생기는 이유

 

귀지는 쉽게 말하면 때와 비슷한 물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도선의 분비물이나 상피세포 등으로 인해 생기는데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귀지는 다 생깁니다.

하지만, 귀지는 더럽거나 해로운 것은 절대 아닙니다. 우리 귀 안쪽을 보호해주는 소중한 존재로써의 역할도 하는 것이 귀지입니다. 또한, 귀 깊숙한 곳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주는 보호막 역할도 합니다. (귀지가 지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입니다)

그래서, 귀지가 생기는 족족 귀지 제거를 하시거나 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저처럼 귀지가 과도하게 많아서 막 흘러내리고 하시는 분들은 귀지 제거를 좀 하시는 것이 좋긴 하겠죠)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귀지이지만, 그렇다고 너무 방치해 두는 것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청력이 감소하거나, 이물감이나 가려움 등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뭐든 적당한 것이 좋겠죠.

 

그럼, 안전하고 올바르게 귀지 빼는 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귀지 제거 방법

면봉

 

a. 면봉 사용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귀지 빼는 법입니다. 하지만, 면봉을 사용하실 때도 주의사항이 있는데요. 귀지가 많이 있는 상태에서 과도하게 힘을 주어서 귀지 제거를 시도하면 오히려 귀지가 귀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면봉으로 귀지 제거 시에는 그냥 '부스러기들만 살살 긁어모은다'는 생각으로 부드럽게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면봉은 면봉 마감이나 살균 등을 고려하셔서 깨끗한 제품을 구매하시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b. 귀이개 사용

귀파개 라고 불리는 귀이개를 이용한 귀지 빼는 법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귀이개는 면봉보다 얇고 넓어서 마치 삽처럼 퍼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한 번 파내면 시원하다는 느낌을 주는 것은 장점입니다. 하지만 귀이개로 파낼 때 더 조심해야 합니다. 자칫 귀지 제거하려다가 귀 안에 상처가 생기거나 하여 괜한 통증 혹은 세균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귀지 파고 나면 그 개운한 느낌이 너무 좋아서, 무리하게 귀이개를 사용하다가 귀안에서 피가 살짝 나거나 했던 경험이 여러 번 있습니다. 귀지 제거의 안좋은 예 입니다.

 

c. 용액 사용

찾아보시면 귀지 제거용으로 나온 오일이나 용액이 있습니다. 이걸 귀에 한 두 방울 떨어뜨리시면 시간이 좀 지나서 귀지와 함께 용액이 귀 밖으로 배출이 됩니다. 면봉이나 귀이개 사용 대비 위생적이고 안전하기 때문에 귀지 빼는 법 중 괜찮은 방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단점은, 제품에 따라 틀리겠지만 면봉이나 귀이개보다는 비용이 조금 더 들어간다는 것이겠지요.

 

그 밖에도 진동귀이개나 귀지 제거용 핀셋 같은 걸 사용해서 귀지 빼는 법도 있습니다만, 면봉과 귀이개가 더 일반적이기에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신생아나 어린 아기들은 귀지 제거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귀지를 파내서 얻는 효과보다는, 귀지 제거하면서 잘못하면 귀 안에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나 귀지가 과도하게 많아서 불편하시거나, 귀지가 딱딱하게 굳거나 하신 분들은 집에서 절대 무리하게 귀지 제거하지 마시고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상으로 귀지 빼는 법 관련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생활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낮추는 방법 총정리  (0) 2021.04.15
줄넘기 1000개 칼로리와 그효과  (0) 2021.03.28
2021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A to Z  (0) 2021.03.23

댓글